국가근로장학 vs 대학생 청소년교육지원사업 비교하기 (실사례)
<국가근로 vs 대청교 비교 4줄 요약>
1. 신청가능 기간이 다르다
- 국가근로: 학기당 2회 / 대청교: 제한없음
2. 선발 가능한 소득분위 기준이 다르다
- 국가근로: 8분위 이내 / 대청교: 제한없음
3. 근로 활동내용이 다르다
- 국가근로: 대부분 가능 / 대청교: 청소년 멘토링관련 활동만 가능
4. 근로 활동기간이 다르다
- 국가근로: 학기사업 / 대청교 : 연간사업
한국장학재단의 기준 원칙으로 대학생 근로장학사업(국가근로, 대청교)는 미취업자들만 참여가 가능!
미취업자란 기준은 명확하게 나와있지는 않으나
통상적으로 4대보험가입자를 취업자로 보는 사회관념상 "미취업자=4대보험 미가입자" 라고 생각한다.
실사례 대상(가정)
- 유재석(통합 2차신청 완료, 소득분위 7분위)
- 박명수(통합 1차신청 완료, 소득분위 9분위)
- 하 하(통합신청 못함, 소득분위 4분위)
※ 세명 모두 직전학기 성적 백분율 70점 이상임을 가정.
※ 학교마다 국가근로장학과 대청교장학의 주당근로가능시간이 다를 수 있음.
예시는 세종사이버대학교 재학중일때를 가정.
▶비교하기1)
유재석 - 국가근로 참여 가능, 대청교 참여 가능
박명수 - 국가근로 참여 불가, 대청교 참여 가능
하 하 - 국가근로 참여 불가, 대청교 참여 가능
▶비교하기 2)
국가근로장학과 대청교장학 모두 참여 가능한 유재석 학생을 대상으로 비교하기
1. 국가근로 참여한다면..
-1일 최대근로가능시간 : 8시간
-(학기 중/방학 중)주당 최대근로가능시간 : 40시간
-학기당 최대근로가능시간 : 450시간
3/2(월)부터 근로시작하면 5/19(화)에 근로 종료.
5/20(수) 부터는 다른 아르바이트 가능.
2. 대청교 참여한다면..
-1일 최대근로가능시간 : 8시간
-학기 중 주당 최대근로가능시간 : 20시간
-방학 중 주당 최대근로가능시간 : 40시간
-학기당 최대근로가능시간 : 450시간
2-1. 학기, 방학 동안 주당 20시간 근로한다면
3/2(월)부터 근로시작하면 8/5(수)에 근로 종료.
8/6(목) ~ 8/30(일) 까지는 방학.
8/31(월) 부터 2020학년도 2학기 대청교 활동 새롭게 시작(450시간 근로 가능)
※ 단, 2학기에도 연속적으로 근로가능한 부분은 학교마다 다를 수 있음.
2-2. 학기 중에는 주당 20시간, 방학 중에는 주당 40시간 근로한다면
3/2(월)부터 근로시작하면 7/9(목)에 근로 종료.
7/10(금) ~ 8/30(일) 까지는 방학.
8/31(월) 부터 2020학년도 2학기 대청교 활동 새롭게 시작(450시간 근로 가능)
※ 단, 2학기에도 연속적으로 근로가능한 부분은 학교마다 다를 수 있음.
Tip1.
자신의 소득분위가 선정된다면, 자신에게 유리한 근로장학을 신청한다.
→국가근로 - 소득분위 8분위이내 / 대청교 - 소득분위 제한x
Tip2.
주당 자신이 근로할 수 있는 시간을 계산하여, 자신에게 알맞는 근로장학을 신청한다.
→국가근로 - 주당40시간 / 대청교 - 주당 20시간 (※각 학교마다 다름)
Tip3.
근로장학 신청 경쟁율에 따라서 근로장학을 신청한다.
국가근로는 학기마다 신청해서 선발이 되어야 하지만, 대청교장학은 1번만 선발되면 1년동안 근로 가능하다.
자신에게 유리한 근로장학을 신청하자!
Tip4.
근로가능 기간을 잘 파악하여, 소중한 자기자신의 시간을 알차게 이용하자!